본문 바로가기

도서정보

영화 원작 일본소설 베스트셀러 국내신작 추천

반응형
영화 원작 일본소설
(2012.12~2023.2)

일본에서 좋은 반응을 얻은 영화의 원작소설은 국내에도 자주 출간된다. 영화화된다는 건 그만큼 스토리가 잘 짜여있고, 주제나 소재가 대중에게 받아들여질 만하다는 걸 의미하는 터일 것이므로, 원작에 대한 기대감은 자연히 높아진다. 게다가 영화가 흥행에 성공할수록 원작소설의 반응도 같이 올라간다. 다음 네 편의 작품은 인간관계를 통한 성장에 대해, 아동학대에 이르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삶과 죽음을 통한 인간의 존엄에 대해, 기억과 소통의 소중함에 대해, 감동적으로 그려낸 이야기들이다. 영화로 보는 것과 책으로 읽는 건 뇌에 전달하는 감각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내용이라도 전혀 다른 느낌으로 전해지는 경우가 많다. 반전의 미스터리는 예외로 두고, 무엇을 먼저 보느냐에 따라 인상이 달라지기도 하지만, 감동작의 경우 아무래도 함축적인 영상보다 서술이 강한 글 쪽이 깊이 있게 다가오지 않나싶다.


 

 

우주에서 가장 밝은 지붕 宇宙でいちばんあかるい屋根

노나카 토모소 野中ともそ / 권남희 | 사계절 (2023-02-28) | ポプラ社 (2003-11-01)

 

 

 

열네 살의 중학생 츠바메는 어릴 때부터 밤하늘을 보는 걸 좋아했다. 어느 날 짝사랑하는 옆집 대학생에게 생일 카드를 보내고, 답답한 마음에 학원 옥상에 올라갔다가 요란한 옷차림의 할머니와 마주친다. 킥보드 타는 법을 알려 주면 과거를 돌이켜 준다고 큰소리를 치는 괴짜 할머니. 그날 이후 어느덧 두 사람은 서로의 마음 어딘가에 뚫린 구멍을 메우듯 거리를 좁혀간다. 라벤더색 머리칼을 휘날리는 ‘별 할머니’의 정체는 무엇일까. 한 여름의 소중한 무언가를 찾는 두 사람의 귀엽고 사랑스러운 감동의 판타지 드라마.

 

☞ 노나카 토모소 野中ともそ

뮤지션들을 취재하면서 뉴욕으로 이주, 이후 일러스트레이터로도 활약하는 가운데 소설가로 데뷔했다. 1998년 『パンの鳴る海、緋の舞う空』로 소설 스바루 신인상을 수상. 『우주에서 가장 밝은 지붕』은 『층계참 금붕어』에 이어 한국에 소개되는 두 번째 책이다. 예술 전반에 걸친 다채로운 이력 때문인지 마치 영상 같은 섬세한 문장으로 읽는 이들을 독특한 판타지의 세계로 유인하는 작가다.

 

 

≫ 우주에서 가장 밝은 지붕

The Brightest Roof in the Universe, 宇宙でいちばんあかるい屋根, 2020

제43회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한 「신문 기자」의 감독·후지이 미치토에 의해 영화화되었다. 
출연: 키요하라 카야(츠바메), 모모이 카오리(별 할머니), 이토 켄타로(옆집 대학생), 다이고 코타로(츠바메의 전 남자친구), 요시오카 히데타카(츠바메의 아빠), 사카이 마키(츠바메의 엄마), 미즈노 미키(츠바메의 친엄마), 야마나카 타카시(서예교실 선생)


 

우주에서 가장 밝은 지붕 - YES24

일본아카데미상 최우수작품상 후지이 미치히토 감독의 힐링 판타지 원작열넷에나 팔십에나 뜻하지 않은 시련을 피할 방법 같은 건 없어도함께여서 다행인 순간들은 있다!킥보드를 타고 밤하늘

www.yes24.com

 

 

 

 

 

내일의 식탁 明日の食卓

야즈키 미치코 椰月美智子 / 김영주 | 문학동네 (2023-02-10) | 角川書店 (2016-08-31)

 

 

우연하게도 ‘이시바시 유’라는 이름도 나이도 같은 남자아이를 키우는 세 엄마들. 각자 8세 아들을 키우면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전업주부 엄마와 샐러리맨 아빠. 프리라이터 엄마와 프리 카메라맨 아빠. 아르바이트로 살아가는 싱글맘. 저마다 생활방식도 다르고 힘든 일도 많지만 행복한 가정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사소한 것들이 계기가 되어 서서히 그 생활이 무너져 간다. 세 가정의 지극히 일상적인 모습이 번갈아 등장하며 양육이라는 한계를 통해 어디에나 있는 가정의 빛과 어둠을 그린 충격적 스토리.

 

☞ 야즈키 미치코 椰月美智子

2002년 『열두 살十二歳』로 제42회 고단샤 아동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데뷔했다. 이후 아동 및 청소년 소설을 주로 집필하면서 노마 아동문예상, 쓰보타 조지 문학상, 쇼가쿠칸 아동출판문화상 등 화려한 경력을 쌓았다. 그리고 아동학대를 소재로 한 『내일의 식탁』을 발표하며 화제의 중심에 섰다. 청소년문학을 비롯한 다양한 작품을 통해 성장통을 겪는 인물들의 현실을 섬세하게 그리는 작가다.

 

 

 내일의 식탁

Tomorrow's Dinner Table, 明日の食卓, 2021

각본가, 연출가, 배우로도 활동하는 일본의 중견 감독·제제 다카히사에 의해 영화화되었다.
출연: 칸노 미호(루미코;프리라이터), 오노 마치코(아스미;전업주부), 타카하타 미츠키(카나;싱글맘), 와다 소코(루미코의 남편), 다이토 슌스케(아스미의 남편), 토가와 료(悠宇,루미코의 아들), 시바자키 후가(優,아스미의 아들), 아쿠쓰 케이토(勇,카나의 아들)


 

내일의 식탁 - YES24

아동학대의 핵심을 예리하게 파고든 야즈키 미치코의 역작제3회 가나가와서적 대상“아들을 지키고 싶은 엄마의 사랑은 고스란히 자신이 배 아파 낳은아들의 생명을 빼앗는 권리로도 통한다.

www.yes24.com

 

 

 

 

 

생명의 정거장 いのちの停車場

미나미 교코 南杏子 / 최현영 | 직선과곡선 (2022-12-10) | 幻冬舎 (2020-05-27)

 

 

도쿄의 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던 62세 의사 사와코는 고향인 가나자와로 돌아와 「마호로바 진료소」에서 방문 진료 의사가 된다. 그동안 ‘생명을 구하는’ 현장에서 싸워온 사와코에게 있어 ‘생명을 보내는’ 현장은 당혹스럽기만 하다. 스탭들의 도움으로 다양한 현장을 경험하고 배워가던 중, 가정에서는 연로한 아버지가 골절 수술로 입원했다가 건강이 악화되어 돌아온다. ‘적극적 안락사’를 강하게 요청하는 아버지. 사와코는 의사로서, 딸로서 고민에 빠진다. 현대의료제도와 존엄사 등을 고찰하는 사회파 휴먼 의료드라마. 

 

☞ 미나미 교코 南杏子

현역 의사이기도 한 작가는 남편을 따라 다니기 시작한 소설 교실에서 집필의 재미에 빠져 2016년 『사일런트 브레스サイレント・ブレス』로 소설가로서 데뷔했다. 대학 시절 누워만 지내던 할아버지의 간병이나 의사로서 바라본 죽음의 체험을 바탕으로 종말기 의료나 재택 의료를 소재로 한 작품을 쓰기 시작해, 이후 의료 관련 소설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으며 『생명의 정거장』은 네 번째 장편소설이다.

 

 

 생명의 정거장

A Morning of Farewell, いのちの停車場, 2021

제35회 일본 아카데미상 감독상을 수상한 「8일째 매미」의 감독 나루시마 이즈루에 의해 영화화되었다.
출연: 요시나가 사유리(의사 사와코), 마츠자카 토리(의대 출신 사무원), 히로세 스즈(간호사), 니시다 토시유키(원장), 타나카 민(사와코의 아버지)


 

생명의 정거장 - YES24

2021년 동명의 영화 원작‘미나미 교코’의 장편소설“아버지를 제발 편하게 해 다오. 충분히 살았다. 슬슬 네 엄마 곁으로 가련다.”아버지의 간절한 이 소원에, 의사인 딸이 내린 답은…….현

www.yes24.com

 

 

 

 

 

백화 百花

가와무라 겐키 川村元気 / 이소담 | 소미미디어 (2022-12-22) | 文藝春秋 (2019-05-15)

 

 

“넌 누구야?” 서서히 아들 이즈미를 잊어가는 엄마와 엄마와의 추억을 되살려가는 아들. 둘이서 살아온 모자에게는 사실 잊을 수 없는 “사건”이 있었다. 이즈미는 생각이 났다. 예전에 ‘어머니를 한번 잃었다’는 것을. 또 엄마가 멀리 가버릴 것만 같았다. 그때처럼. 치매가 점점 진행되는 엄마는 집에서 나가 밖을 배회하는 것을 멈추지 않는다. 뒤늦게나마 봉인된 과거에 손을 뻗는 이즈미. 그리고 우연히 발견한 엄마의 일기를 통해 둘 사이에 있었던 ‘사건’의 진실을 알게 되고 자신이 모르는 엄마를 마주한다.

 

☞ 가와무라 겐키 川村元気

영화 「고백」, 「너의 이름은」 등의 수많은 히트작을 제작한 영화 프로듀서로 2012년 첫 소설 『세상에서 고양이가 사라진다면』을 발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됐다. 두 번째 소설 『억남』, 네 번째 소설 『백화』, 모두 직접 극본 및 감독을 맡아 영화로 제작되며 여러 명사들의 절찬을 받았다. 언젠가 시들기 때문에 기억은 아름답고 그만큼 소중하다는 의미가 담긴 ‘백화’. 감성을 자극하는 감동작이다.

 

 

백화

A Hundred Flowers, 百花, 2022

원작소설을 쓴 소설가이자 각본가이자 프로듀서인 감독·가와무라 겐키에 의해 영화화되었다.
출연: 스다 마사키(이즈미), 하라다 미에코(엄마), 나가사와 마사미(이즈미의 아내), 나가세 마사토시(엄마의 비밀을 아는 인물)


 

백화 - YES24

봉준호·니콜 키드먼·이와이 슌지 절찬!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 최우수 감독상 수상 영화 〈백화〉 원작 소설“너는 누구니?”엄마가 또 멀리 떠나버릴 것만 같았다. 그때처럼.영화 〈늑대아

www.yes24.com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